이제 미국도 11월 11일 '빼빼로데이'를 챙길지 모릅니다
SaaS in the world
2024. 6. 12.
"Do you know 'PEPERO's day?"
부산, 경남 일대 학생들 사이에서 자생적으로 존재하던 문화를 롯데가 캐치하여 1996년부터 대규모 마케팅을 통해 하나의 '문화'로 만들어낸 '빼빼로 데이'.
우리에겐 친숙하지만 외국인은 잘 모르는 빼빼로 데이를 머지않아 미국에서도 즐길 수 있을지 모른다. 왜냐고? 빼빼로가 미국 스낵 구독 서비스'Try the World'와 손을 잡고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때문이다. 참, '아몬드 빼빼로'가 구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된다.

이러다 아몬드 빼빼로 가격 오르는거 아냐...? (출처: try the world 인스타그램)
왜 'Try the World'와 손을 잡았을까?
일단 'Try the World'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미국의 스낵 구독 서비스 'Try the World'는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로 25달러의 과자 박스를 구독하면 매월 8~9종의 세계 과자를 담아 배송해 준다. 약 5만 명의 회원이 구독하고 있으며 연간 약 5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데, 2013년에 시작하여 역사가 오래된 스타트업이지만 그 규모가 크다고 보긴 어렵다.

약 5만 구독자에게 24년 5월, 빼빼로가 배송됐다. (출처: Try the World 공식 홈페이지)
그렇다면 왜 Try the World와 협업을 진행하는 걸까?
가장 큰 이유는 현지 '니치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유명 인플루언서보다 실제 내 생활에서 더 자주 접하고 친숙한 '니치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최근 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기도 하다.
기업들은 유저들의 높아진 광고 불만도를 피하기 위해 인플루언서를 통해 브랜디드 광고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이 또한 너무 많아지면서 브랜디드 콘텐츠를 지나치게 많이 만들거나 콘셉트, 톤 앤 매너와 맞지 않은데 광고하는 경우엔, 내가 좋아하는 인플루언서라도 그 영상을 거르거나 구매하지 않고 심지어 구독 취소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런 리스크가 증가하자, 구독자 많은 인플루언서와 단기로 비싸게 광고를 진행하기보다는 오히려 신뢰할 수 있고 우리 제품을 지속적으로 이용해 온 인플루언서를 찾아서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는 형태의 '니치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활성화되고 있다.
문제는 미국 시장은 국내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수많은 인플루언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롯데웰푸드는 '어떤 방법을 써야 니치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을 거고 과자를 사랑하고 전 세계 과자를 편견 없이 즐기는 5만여 명이 모여있는 'Try the World'와 함께 협업하면 되겠다고 판단했을거다. 완벽한 타게팅에 니치 인플루언서까지! 성공적인 해결 방안 그 자체다. 추가로 소비자 반응도 볼 수 있으니 일석이조 아니겠나.

이걸로 마케팅 끝? '빼빼로 마케팅 전략은 두 개지요!'
레거시 기업이 가장 잘 하는 게 뭐다? '인지도는 돈으로 쌓는다'다.
이미 롯데웰푸드는 작년부터 빼빼로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마케팅을 전개해왔다. 작년 9월 뉴진스를 빼빼로 공식 글로벌 엠버서더로 선정한 뒤 10월에는 뉴욕 타임스퀘어와 LA 한인타운 중심가에 빼빼로 브랜드 디지털 옥외광고를 진행했다.

마케터 입장으로 이렇게 돈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 (출처: 롯데웰푸드)
여기에 뉴욕, LA 주요 명소를 지나는 버스에 빼빼로 래핑 광고를 진행하고 유튜브, 인스타 등 유명 소셜미디어에 퍼포먼스 광고까지 집행하면서 토털 마케팅 전략을 통해 빼빼로의 인지도를 시원하게 올리는 중이다. 이걸 다 하면서 try the world와 함께 구독 서비스를 활용한 마케팅까지... 빼빼로 인지도, 놓치지 않을 거예요.
이 사례를 통해 특정 팬층을 구독 서비스로 보유하고 있다면, 해외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 구독 서비스가 이런 포지션이라면, 해외의 기업들에게 이런 식으로 소개해 보는 것도 매출을 만들어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런 것 보면 해외 진출을 하고 있는 레거시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 전술은 진짜 앞서있다는 생각이 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