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분야 SaaS 도입, 전년 규모 대비 3배 이상 성장!
구독결제 인사이트
2024. 5. 17.
공공 SaaS 도입, 1분기 역대 최고!
데이터 클라우드, AI 등의 발달로 전 세계 SaaS 시장 규모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고 이에 발맞춰 해외 레거시 기업들의 SaaS 전환도 늘고 있습니다. 기존 온 프레미스(On-premise) 방식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내 SaaS 전환은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2023년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조사한 결과에 따른 국내 SaaS 전환율은 약 22% 밖에 되지 않았는데요. 국내의 경우, 레거시 기업들은 구축형, 라이선스 구매가 익숙하며 이미 해당 서비스를 사용 중이기 때문에 교체에 대한 니즈가 적고 또 SI를 통한 자체 개발을 기본으로 하다 보니 전환이 낮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특히 공공기관의 경우,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보안이 담보된다는 전제하에 효율이 높은 SaaS로 전환을 고려해야 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전환을 미루거나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히는 '아직 관심이 없다'에 가깝지만요.
하지만 미국 농무부(USDA)가 세일즈포스 CRM SaaS 'Farm Division'을 통해 농업 시스템을 개선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농업 퀄리티, 생산량을 개선하는 등 해외 공공기관의 SaaS 도입 성공사례가 잇따라 전해지자 국내도 SaaS 전환에 대한 니즈가 조금씩 생기는 듯합니다.
2024년 1분기, 공공 분야 SaaS 전환을 위해 82개 업체와 손을 잡았고 그 규모는 약 33억 정도인데요. 작년 1분기 계약이 27건, 규모가 9억 원인 걸 감안하면 엄청난 성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계약에 성공한 회사들은?
그렇다면 이번에 계약이 된 회사들을 살펴볼까요?
먼저 두드림시스템의 '이젠터치/토이'가 총 32건으로 가장 많은 계약 건수를 달성했습니다. 24년 1분기 전체 계약 중 39%를 두드림시스템이 가져간 셈이네요.
이젠터치는 도서관 운영을 지원하는 SaaS로 설치형 대비 70% 저렴한 이용료로 유지 보수, 상담을 도와주는 솔루션입니다. 이젠토이는 도서관 내 장난감 예약 및 지원 SaaS로 배송을 해주거나 드라이브스루까지 지원해 준다고 하네요.
공공 분야에서 활용하기 좋은 SaaS다. (출처: 두드림시스템)
그다음으로는 공용 차량의 통합 배차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SK 렌터카의 'G-Smartlink'가 19건을 달성했는데요. 확실히 공공 분야의 복지, 업무에 필요한 솔루션을 시범 도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럼 누적 계약 금액은 누가 가장 높았을까요?
바로 와이즈넛의 '현명한 앤써니'인데요. 6억 원의 누적 금액을 달성했습니다. '현명한 앤써니' AI 챗봇을 활용하는 SaaS인데요. 서비스 운영, 구축까지 담당하고 있다고 하네요.
챗봇 서비스 또한 업무 효율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됩니다 (출처: 와이즈넛)
아직 갈 길이 먼 공공 SaaS 도입
정부는 올해 SaaS 생태계 활성화를 중점 과제로 두고 다양한 지원 사업뿐만 아니라 공공 분야 서비스를 SaaS로 전환할 수 있도록 다양한 SaaS 업체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 가지 문제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클라우드, AI에 몰려있다는 점입니다.
'필요하니까 몰려있는 거 아냐?'라고 말할 수 있는데요. 물론 맞는 말이지만 클라우드의 경우, AWS, AZURE, Google의 의존도가 매우 높고 국내에서 이 정도 수준을 따라갈 수 있는 업체는 네이버 클라우드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따라서 공공 분야가 전환할 수 있는 수준의 클라우드를 갖춘 SaaS 사를 발굴하기도 어렵고 그 정도의 지원으로 될 문제가 아닌 거죠. 물론 지속적인 지원을 하려는 방향성은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AI도 비슷한 상황이죠. 또 AI는 거짓말을 하는 '할루시네이션'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있는 상황입니다. 결국 투자를 하더라도 '제한적 활용' 선에서 머물게 되는 셈이죠. 이 부분에 대해 면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입니다.
두 번째는 여전히 빡센 CSAP 인증입니다.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제도 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는 공공시장에 SaaS를 공급하기 위해선 필수로 받아야 하는 인증 심사인데요. 막대한 인증 비용과 소요 시간이 필요합니다. 정부가 비용을 보전하고 기간을 단축해 주면서 조금 숨통이 트였다곤 하나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세 번째는 분리되어 있는 담당기관입니다.
CSAP를 통과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등록을 해야 수의계약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여기도 심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심사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그런데 카탈로그 계약을 하려면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추가 등록을 해야 합니다. 여기도 서류를 제출해야 하죠. 이원화되어 있는 셈입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서비스에 관심 있는 기업, 기관을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고 조달청은 공공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IT 서비스를 모아놓은 시스템이라고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 같은 소리입니다. 심사 기간도 짧지 않은데 일원화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공공기관에 들어간 세금이 이미 100조 원이 넘은 상황이고 앞으로 더 늘어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매번 이럴 때마다 문제 되는 방만경영, 공공기관의 세금 빼먹기 그리고 이 해결 방안으로 가격 인상, 민영화 등 같은 레퍼토리가 만연하고 있는데요. 오히려 과감한 SaaS 도입을 통해 낭비되는 비용을 효율화하는 게 우선 아닐까요?